• 불안을 무지에 대한 불안과 지식으로 전환하는 속도에 대한 불안으로 나눈 것은 다음과 같은 생각으로부터 시작되었다.
    • 3__1.2_2.1_1. title: unknown-unknown 에 대한 불안감을 unknown → known 전환방법을 몰라서 오는 불안과 속도에 대한 불안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 여기에 더해, 세상의 수많은 지식들 중에 어떤 지식을 나의 지식으로 전환해야 하는지의 고민이 포함되어야 할지 고민해야 한다.
    • 3__1.2_2.1_2. title: known과 unknown을 모두 포함하는 커다란 지식의 세상에서 내가 지금 꼭 필요한 known을 쌓아가고 있는 것인지에 대한 불안은 무지 그 자체 혹은 속도에 대한 불안과 별개의 불안이다.
  • 이 엔트리에서는 어떻게 각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다룬다.
    • 어떤 지식을 나의 지식으로 전환해야 하는지를 모른다는 것에 대한 불안
      1.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내가 여전히 그 사람이 되고 싶은지를 생각해보기
        • 3__1.2. title: 가치관이라는 것은 삶을 살아가며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가치관이 필요하다. 따라서 가치관을 구체화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라.
      2. 그런 사람들은 어떤 기준으로 지식을 습득하며 살아갔기에 내가 꿈꾸는 삶을 살아갔는지를 알아보기
        • 내가 멋지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어떤 기준으로 지식을 습득하고 살아갔는가?
    • 무지에 대한 불안
      • 시간이라는 심판을 활용하라.
        • 3__1.2_2.1. title: unknown-unknown 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를 시간을 통해 경감시킬 수 있다.
    • 지식으로 전환하는 속도에 대한 불안
      1. 더 빠르게 unknown-unknown → known-unknown 하기
        • 커뮤니티에서 키워드 주워듣기
          • ‣
        • 선생님을 찾아 무식한 질문을 던지기
          • ‣
          • 2_1_2_6. title: 내가 배우고 싶은 분야에 대한 훌륭한 선생님이 없는 환경은 피해야 한다.
        • 조금의 단서라도 찾아서 역사를 공부해 보기
          • 2_1_3_2_1.1.3. title: 학문과 지식의 역사 속에서 내가 어디에 있는지 알아보고, 학문에서 지식이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 공부하는 서베이가 먼저다. 서베이를 통해 지식지도를 그려 모르는 것이 무엇인지 문제정의하면 더욱 빠르게 배울 수 있다.
        • 이 모든 과정에서 LLM 이용하기
          • Chat-GPT 가 이것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은 무엇일까?
      2. 더 빠르게 known-unknown → known-known 하기
        • 공부를 해야만 하는 환경에 뛰어들기
          • 1_2_5. [긴글] title: 삽질을 줄이고 성장을 만드는 '피드백 루프' 의 중요성, 환경과의 관계
        • 알고자 하는 내용에 대해 나보다 더 잘 알고 나를 자주 혼내줄 수 있는 선생님이 있는 환경에 가기
          • 1_2_5. [긴글] title: 삽질을 줄이고 성장을 만드는 '피드백 루프' 의 중요성, 환경과의 관계
          • 2_1_2_6. title: 내가 배우고 싶은 분야에 대한 훌륭한 선생님이 없는 환경은 피해야 한다.
        • 공부해야 하는 대상을 명확히 정의하여 무엇인가를 공부할 때 이것이 8인지 2인지 구분하기
          • 2_1_3_2_1.1.3. title: 학문과 지식의 역사 속에서 내가 어디에 있는지 알아보고, 학문에서 지식이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 공부하는 서베이가 먼저다. 서베이를 통해 지식지도를 그려 모르는 것이 무엇인지 문제정의하면 더욱 빠르게 배울 수 있다.
        • 역사를 공부하고, 추상화를 받아들이고, 내 단어로 바꿔써 보기
          • 2_1_3_2_1.1. title: 메타러닝(meta learning) - 학습에 도움이 되는 좋은 설명이란 설명하고자 하는 대상을 나의 추상적 사고 수준을 고려한 설명이다.
        • 적절한 지식 관리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지식들 사이에서 길을 잃지 않으면서도 강제로 복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 a0_5. [info] title: 제텔카스텐은 단순히 기록을 넘어 학습해야만 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 너무 적기, 기록하기, 연결하기에 집착하고 있는건 아닐까 싶을 때마다 읽어야 하는 글
          • ‣
        • 다양한 정보 전달 매체를 활용하기
          • 2_1_3_2_1.1__1. title: ‘뇌연결 강화론’, 책을 통한 지식습득과 경험을 통한 지식습득의 차이는 뇌연결의 강도다. 책이 없으면 경험에 갇히고, 경험이 없으면 연결이 느슨하다.
        • 이 모든 과정에서 LLM 이용하기
          • Chat-GPT 가 이것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은 무엇일까?
  • 이 엔트리포인트의 내용은 다음 엔트리포인트에 작성된 내용에 실전적으로 반영된다.
    • bb6.1. [entry] title: 창업, 문제해결, 기술학습 등 태스크에서 빠르게 달성하기 위한 체크리스트
  • 특히, 리서치 직무는 엔지니어링보다 unknown 과 더 잘 싸워 나가야 하는 직무이다.
    • 3__1.2_2.1_3. [entry] title: DL 리서치를 효율적이게 하기 위한 워크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