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모빌리티 혁신을 통해 이동을 편하게’나 ’맛있는 술의 대중화‘같은 가치는 나쁜 가치가 아니다. 다만,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지 못하는 가치이고, 시장 크기가 이를 증명한다. 반대로 일론 머스크가 화성을 가야 한다고 처음 주장했을 때처럼, 너무 크고 담대한 목표(BHAG)는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설레게 하지만(ref1) 돈이 안 될지도 모른다. 이 비전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초기자본이 필요하다.
하지만 소행성이 지구로 떨어지고 있다고 생각해보자. 소행성 추락을 막는 것은 정말 크고 담대한 목표다. 전무후무한 위기에 누군가는 많은 돈을 써서 그것을 막아야 한다. 국가가 나서 돈을 쏟아붓고 있는 인구 소멸 및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사회가 바라는 거대한 흐름(ref2)이다.
BHAG 달성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 시장이 크다면, 나 또는 팀의 고슴도치 컨셉트와 맞는 구석은 없을지 살펴보라.
parse me : 언젠가 이 글에 쓰이면 좋을 것 같은 재료을 보관해 두는 영역입니다.
None
from : 과거의 어떤 원자적 생각이 이 생각을 만들었는지 연결하고 설명합니다.
- 5_2_2__1.1_4. title: 없는 시장을 개척하지 마라. 어떻게든 시장을 정의해야 한다. 이에 충분한 시간을 들인 뒤 테스트라는 방법을 사용하라. 이 또한 린함의 함정이다.
- 시장이 없다는 것은, 잠재고객들이 갈망을 소구하기 위해 돈을 지불할지에 대한 검증이 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없는 시장을 키우겠다’라는 것이 어불성설인 경우가 많은 이유가 이 때문이기도 하다.
- 5_2_2__1.1_3. title: 큰 시장은 임의의 갈망을 해소하기 위해 사람들이 소비하고 있는 돈이 이미 충분히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 이미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충격 방지책에 엄청난 국가 예산이 들어가고 있다.
- 5_2_2__1.1_3_1. title: 커다란 시장 속, 비효율 때문에 머리에 불이 난 소수의 고객들을 찾을 수 있다면 그것이 기회이다.
- 고령화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사회문제 해결은 정부 입장에서 머리에 불이 난 문제다. (이것이 앞의 글이 강조하듯 소수의 고객이라고 할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 5_2_2.1_1__1. title: 따로 노는 재능들이 스페셜리티가 되는 것은 진로탐색의 언어로 ‘미세하게 조율되는 동기’를 정의하고서부터, 기업의 언어로 ‘고슴도치 컨셉트’를 정의하고서부터다. 흩어진 재능에 불안감을 느낄 때, 이들이 정의되지 않았는지 생각해 보자. ‘고슴도치 컨셉트’는 제너럴함을 모아 유의미한 스페셜함으로 만든다.
- ‘고슴도치 컨셉트’에 부합하는지를 따져 보아야 한다는 이야기는, 나 또는 팀이 지금까지 쏟아부어온 리소스나 역량이, BHAG + 큰 시장의 문제에 스페셜리티가 있는지를 살펴보라는 이야기이다.
- 2_1_3_2_4.1_1. [info] title: 함께 창업(프로젝트)에 도전할 사람에게 전하는 창업동기
- 요즘 한국의 인구 소멸 문제가 건강보험이나 쿠게르작트 컨텐츠 등을 통해 우리의 인식 속에 들어오고 있지만, 이 위기는 몇년 전부터 이미 예고된 것이었다. 2023년, 프랑스에서 교환학생 중이던 내가 한국에 돌아가서 마지막 창업을 시도하려고 했던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하다.
supplementary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을 뒷받침하는지 연결합니다.
None
opposite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과 대조되는지 연결합니다.
N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