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nsion과 Retention이 확보된 컨텐츠라고 생각한다면 지속가능성 있는 컨텐츠인지 돌아보아야 한다. 꾸준하게 컨텐츠를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CTR 중 어떤 요소가 부족했는지는 그 누구도 말하지 않기 때문에 컨텐츠 1~2개만으로 이렇다할 성패를 판가름짓기는 어렵다. 원초 Curiosity를 확보하기 어려운 컨텐츠이지만 TR이 충분히 높아 나중에 빛을 볼지도 모른다. 당연히 Curiosity를 확보하기 어려운 컨텐츠를 왜 Curiosity가 중시되는 플랫폼에 퍼블리싱하는지에 대한 성찰은 필요하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TR이 확보된 좋은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생산해내면, Curiosity가 조금 부족하더라도 조금씩 성장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CTR을 모니터링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일이 중요하다. 이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지속가능성이라는 이름으로 추상화할 수 있다.


parse me : 언젠가 이 글에 쓰이면 좋을 것 같은 재료을 보관해 두는 영역입니다.

  1. None

from : 과거의 어떤 원자적 생각이 이 생각을 만들었는지 연결하고 설명합니다.

  1. a3__3.3. title: Tension은 컨텐츠를 끝까지 시청하도록 만드는 것, Retention은 브랜딩과 같이 장기적 재방문을 이끄는 것이다. Tension은 알고리즘을 위해서, Retention은 구독과 수익화를 위해서 중요하다.

supplementary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을 뒷받침하는지 연결합니다.

  1. None

opposite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과 대조되는지 연결합니다.

  1. None

to :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이 어떤 생각으로 발전되거나 이어지는지를 작성하는 영역입니다.

  1. a2_1. [entry] title: 잘하는 것과 지속가능성 있는 것을 결합하여 이야기소재를 정하기 위한 엔트리

ref : 생각에 참고한 자료입니다.

  1. N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