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이라는 거 자체가 남들이 걸어 가지 않는 길을 걸어가는 거 다 보니까 되게 유니크한 능력이나 관점 같은 게 생기는 부분이 있는 거 같아요. 그래서 저도 이런 것들이 뭉쳐져서 결국에 유니크한 스타트업 크리에이터라는 저만의 어떤 직업 같은 것들을 만들 수 있게 된 거 같아요.(ref6)

석태형의 이야기에 따르면, 슈퍼바이저는 도메인 지식이 매우 중요하다고 했다(ref1). 재호형의 이야기에 따르면, 문과 친구들에게 최고의 직장인 컨설팅업도 마찬가지이다. 도메인에 대해서 많은 내공이 쌓이는 것을 섹터 스페셜리티라고 부른다(ref2). 도메인 지식이 중요한 분야에서 자신이 일하는 도메인을 옮겨 다니는 것은 전문성을 포기하겠다는 것과 마찬가지 선언과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하지만 역으로 비즈니스와 전략에 대한 이해와 리더쉽이라는 득이 있다(ref3,ref5).

석태형은 편의점 한 곳에서 20년 일한 사람은 리테일이라는 도메인에서 스페셜리스트이지만 기업 전략에서는 정말 무지한 사람일 것이며, 다양한 도메인에서 4년씩 5번 일한 사람은 어떠한 하나의 도메인에서는 너무 무지한 사람일 것이지만 기업 전략에 있어서는 스페셜리스트일 것이라는 비유를 했다.

건축 소프트웨어는 건축 공부를 하다가 컴퓨터 공부를 한 사람이 가장 잘 만든다. 건축 소프트웨어의 스페셜리스트는 건축과 컴퓨터를 모두 아는 사람이다.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리드를 하는 데 섹터 스페셜리티는 크게 필요가 없다(ref3,ref4,ref5). 스타트업계에서 스페셜리티는 다양한 비즈니스에서 인사이트를 얻어 본 경험이다.

창업가도 마찬가지다. ‘창업가 = 제너럴리스트’는 오해다. 창업가는 ‘엔지니어’적인 측면에서는 B급이다. ‘경영자’적인 측면에서도 B급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창업가’적인 면에서 S급이다. 따라서, 제너럴리스트와 스페셜리스트를 나누는 것은 의미가 없다.


parse me : 언젠가 이 글에 쓰이면 좋을 것 같은 재료을 보관해 두는 영역입니다.

  1. None

from : 과거의 어떤 원자적 생각이 이 생각을 만들었는지 연결하고 설명합니다.

  1. 5_2_2. title: 제너럴리스트의 유형, 스페셜리스트가 되어야 하는 이유와 폴리매스
  2. 2_1_2_2. title: 살아가고자 하는 모습에 따라 known과 unknown의 기준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개발자의 known-unknown에 대한 기준선은 아키텍터의 known-unknwon의 기준선과 다르다.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known과 unknown이 정의되는 공간을 선택하는 것이다. 설사 그것이 옳지 않다고 하더라도 불안감을 갖지 않고 살아갈 수 있다.

supplementary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을 뒷받침하는지 연결합니다.

  1. None

opposite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과 대조되는지 연결합니다.

  1. None

to :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이 어떤 생각으로 발전되거나 이어지는지를 작성하는 영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