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p, 진화론 코스에서 보게 되는 행복은 … 생존, 욕정, 번식과 같은 본능들과 뒤범벅된 매우 원초적인 모습이다.(참고1)

돈과 명예(참고3)를 얻으면 어느 수준까지는 행복과 성취라는 보상을 얻는다. 그런데 사람이(특히 남성이) 돈과 명예를 필요(from1:필요한 만큼만의 돈을 추구하는 가치) 이상으로 얻고자 하는 이유는, 본능적으로 돈과 명예가 본인이 더 나은 수컷임을 증명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참고2). 모든 동물들이 그러했듯 암컷은 자신을 더욱 잘 지켜줄 수 있고 자신을 더욱 빛내줄 수 있는 알파메일에게 끌리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인간 여성도 마찬가지로 돈이 많은 남성, 똑똑하고 명예가 있는 남성, 인기가 많은 남성에게 끌리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마찬가지로 본인의 생존에 이런 사람들과 짝짓기를 하는 것이 훨씬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회적 시선으로 인해 여성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쾌락의 임계값이 존재한다. 특히 한국의 경우에는 이러한 사회적 제약이 꽤 강한 편에 속한다. 여성들은 맨날 다른 여성과 자고 다니는 수컷을 만나고 싶지는 않을 것이다. 남성도 사회적 시선을 정면으로 받아내며 여성을 만나려고 노력하지 않게 된다(from2).

돈과 명예가 가져다줄 수 있는 많은 쾌락 요인들 중 (1)여성이라는 인자가 차단되고, (2)돈이 가져다줄 수 있는 삶의 질 변화라는 인자가 점점 줄어들기 때문에(from3), 인간은 이에 점점 무뎌지게 된다. 돈과 명예를 추구하더라도 행복과 성취라는 보상은 특정 수준까지만 주어진다.


돈과 명예를 추구하는 이유가 (1)여성으로 인한 쾌락, (2)돈이 가져다줄 수 있는 삶의 질 변화로 인한 쾌락 - 이라고 볼 때 여성이라는 인자가 차단되지 않는다면 계속 돈과 명예를 추구하게 될까? 이것은 어떻게 실험할 수 있을까? 실제로 그런 사람들을 분석해 보는 것은 어떨까?


parse me : 언젠가 이 글에 쓰이면 좋을 것 같은 재료들.

  1. None

from : 과거의 어떤 생각이 이 생각을 만들었는가?

  1. ba7.6_1. title: 행복한 삶을 살고 싶다면 오늘날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가치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소스로부터의 쾌락을 지속적으로 느껴야 한다. 사회에서 추구하는 가치를 함께 추구하면 장기적으로 생존가능성이 높아진다.

supplementary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을 뒷받침하는가?

  1. ba7.6_1.1.1. title: 돈과 명예를 얻기 위한 창의력이나, 이성에게 여유를 보여주는 센스와 위트를 발휘하는 일도 결국 더 좋은 사람과 짝짓기를 하고 싶기 때문이다. 이를 피카소 효과(Picasso Effect)라고 부른다.

opposite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과 대조되는가?

  1. N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