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텔링을 잘 하라는 조언은 무의미하다(ref1). 스토리텔링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화해야 컨텐츠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parse me : 언젠가 이 글에 쓰이면 좋을 것 같은 재료을 보관해 두는 영역입니다.

  1. None

from : 과거의 어떤 원자적 생각이 이 생각을 만들었는지 연결하고 설명합니다.

  1. a3__3.3.2. title: 훌륭한 촬영 및 편집 기술로 만든 ‘보는 맛’은 Tension에 기여한다. 하지만 화려한 영상미에 자신이 없고 자본이 없다면, 가성비 눈요기를 준비하여 사람들이 지루하지 않도록 하자.
  2. 2_1_3_2_1.1__1.1.1. title: 이야기를 통한 간접경험이 뇌연결 강화력을 높인다.
  3. 9_3. title: 추상화, 구체화를 하는 이유는 빠른 내용 전달이다. 추상적인 생각을 그 자체로 받아들이면 안되는 이유는 구체화(해석)의 자유성 때문이다.

supplementary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을 뒷받침하는지 연결합니다.

  1. a3__3.3.2_1.1. title: 스토리텔링을 기계론적으로 해석하면 수동적인 변화에 대해 보수적이게 만드는 인간의 생존 본능을 누그러뜨리고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하는 장치이다. 뉴미디어의 등장에도 여전히 유효한 ‘영웅의 모험’ 같은 스토리텔링 프레임워크가 있다.
  2. a3__3.3.2_1.2. title: 전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좋아할만한 사람이 적을 때에는 추상적으로 이야기해서 더 많은 사람들이 자신만의 방법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3. a3__3.3.2_1.3. title: 따분한 핵심 메시지를 재미있게 만드는 것이 스토리텔링이다. 스토리텔링 전, 전하고자 하는 핵심 메시지를 정하자.

opposite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과 대조되는지 연결합니다.

  1. None

to :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이 어떤 생각으로 발전되거나 이어지는지를 작성하는 영역입니다.

  1. N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