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책들은 많지만 진득하게 쌓인 것은 없다. 여전히 그러고 있지 않을까?

공책들은 많지만 진득하게 쌓인 것은 없다. 여전히 그러고 있지 않을까?

유튜브 첫 번째 컨텐츠 방향성이 가지고 있었던 문제는 너무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려고 하다 보니 오히려 스페셜리티를 전혀 활용하지 못한 것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이건 나영석 PD의 스페셜리티이지, 나의 스페셜리티가 아니다.

내가 가지고 있는 핵심 역량이 문제정의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해 내는 역량이라고 해 보자. 이것은 짧은 시간에 리서치를 해서 모조리 흡수하는 역량이나, 흡수한 내용을 대중들이 좋아하는 방식으로 재미있게 풀어 전달하는 역량이 아닐지도 모른다. 이것들은 각각 컨설턴트나 방송 작가들이 가지고 있는 스페셜리티다.

내가 잘하는 것만 만들면 사람들이 싫어하기 쉽다. 그래서 어떻게든 사람들이 좋아하는 컨텐츠를 제작하는 시행착오를 겪었다. 이 과정에서 느낀 점은, 내가 잘 하지 못하는 것을 잊은 채 단순히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만 만들면 현타가 오거나 따라잡히기 쉽다는 것이다.

컨텐츠를 자신의 스페셜리티를 아웃바운드하는 수단으로 바라본다면, 나의 강점을 절대 포기할 수 없다. 둘 모두를 잡아야 한다. 이 생각을 추상화한 단어가 CMF(Contents-Market-Fit)이다. 자신이 이미 하고 있는 것과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의 교집합을 찾아내야 한다는 의미를 가진 이 단어는 PMF(Product-Market-Fit)이라는 단어에서 영감을 받았다.

내가 가지고 있는 강점을 최대한 많이 섞었는데 사람들이 좋아한다면, 즉, 역량이 충분히 융합되었는데도 CMF를 찾아냈다면 일반적인 스페셜리스트들보다 훨씬 강력한 해자와 경제적 가치를 만들 가능성을 가진다.


의미를 추구해야 하는가 실리를 추구해야 하는가? 그 사이의 밸런스?


parse me : 언젠가 이 글에 쓰이면 좋을 것 같은 재료을 보관해 두는 영역입니다.

  1. None

from : 과거의 어떤 원자적 생각이 이 생각을 만들었는지 연결하고 설명합니다.

  1. 5_2_2.1_1. title: 스페셜리티는 사회가 원하는 능력에 의해 후천적으로 정의된다. 이것은 보통 직업으로 드러난다. 여러 분야에 관심가지는 경우 이들을 엮어 새로운 직업을 만들어내다시피 해야 가치가 생긴다. 스킬들이 따로 논다면 이미 잘 정의된 분야를 깊게 파온 스페셜리스트들에게 처발리고 말 것이다.
  2. a2_1. [entry] title: 잘하는 것과 지속가능성 있는 것을 결합하여 이야기소재를 정하기 위한 엔트리

supplementary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을 뒷받침하는지 연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