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저마다 가치를 추구하며 살아간다. 모든 사람의 가치 의미는 소중하다. 다른 사람들이 어떤 삶을 살아가고 싶어하는지 한번 확인해 보자. 가령 태정이는 좋은 아버지가 되는 것을 높은 가치로 삼고 싶다고 했다. 공부를 잘 하고 성실한 현구는 굴곡없는 삶이라는 가치를 추구했다(참고2). 디어의 명균이형은 가치를 조금 더 세분화했다. 그것들은 첫째, 돈에 쪼달리지 않는 삶이라는 가치, 둘째, 실패를 많이 해본 내러티브 있는 삶이라는 가치, 그리고 셋째, 근처에 멋진 사람을 많이 두고 살아가는 삶이라는 가치였다(참고1). 나같이 가치에 대해 고민해는 사람들을 위해 워크넷은 수많은 가치들 목록을 제시한다(참고3).

하지만 개인이 추구하는 가치에 대한 세간의 평가, 타인의 만족도, 역사의 평가, 지극히 현실적인 개인의 만족도도 모두 분명히 다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에서 빈센트 반 고흐의 삶을 부러워하는 사람은 얼마 없을지도 모른다. 나에게도 개인적인 만족도가 굉장히 낮을 것이라고 기대되는 가치이다.

빈센트 반 고흐는 어둠 속에서 요절했잖아. 그런데 다빈치, 피카소 이런 사람들은 살 때 부귀를 누렸잖아. 나는 다빈치, 피카소 이런 사람의 삶이 나은 삶 아닐까 싶어. 후세에도 좋은 영향을 주고, 나도 잘 살고.(참고4)

그런데 분명히 반 고흐는 미술사에 커다란 족적을 남겼다. 나는 어디에서 습관적으로 “임팩트 있는 삶을 살고 싶다” 고 외치곤 했다. 정말 임팩트를 추구하는 것이 맞는가? 빈센트 반 고흐의 삶은 왜 거부감이 들까? 그렇다고 지극히 현실적인 목표를 추구하며 살아가고 싶지도 않다.

사람이 가질만한 기본적인 욕구에 대해서 어느정도 충족이 되니 그런 고민(삶의 목적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는 것 같다. 내 삶의 목적은 항상 좋지 못한 현실에서 벗어나는 일이었다. 그것이 삶의 동력이 되었다. 하지만 지금은 모든 요소들이 어느정도 충족되었다. 깔끔한 곳에서, 학교 다니면서, 적당히 돈 벌면서, 예쁘게 연애하는 삶을 꿈꿨는데, 이루고 나니 최근에는 의욕적인 삶을 살기 어려운 것 같다.(참고5)

현실에 충실했던 많은 어른들이 공통적으로 이야기하는 삶의 무력감이라는 것이 있다. 40대에 이르러서야 뒤늦게 현실 후유증을 겪는건 놀라운 일도 아니다. 그렇게 현실적으로 추구하던 것들을 가지게 된 순간 모든 것이 무의미해졌던 것이다. 그렇다면, 세상에는 어떤 가치들이 있고 나는 어떤 가치들을 받아들이고 살 것인가? 그리고 이들로부터 나만의 가치를 만든다면 그것은 무엇이 될 것인가?


parse me

  1. Q. … 내 머릿속의 너는 사회에서 성취를 위해 엄청 열심히 살아왔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어? A. … 사람들은 종종 그렇게 생각하곤 하는데 오히려 정 반대야. 부모님도 딱히 강요하지 않으셨고, 항상 나의 선택에 맡기셨어. 주변 사람들의 노력에 비해 나는 그렇게 크게 노력하지도 않았고, … (여러 행운이 있었지만 이화여대에 입학한 것도) 운이 엄청 좋았다고 생각해. … Q. … 그럼 한국을 뜨려고 하는 이유는 뭐야? A. … 한국 사회의 장점도 분명히 있지만 여기는 일이 1순위가 되어야 하는 분위기인 것 같아. … 그런 환경 속에서는 나를 잃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 일을 통해 자아실현은 할 수 있겠지만 그것은 삶과는 별개의 문제라고 생각해. 일과 삶의 균형이 중시되는 문화권에서 일을 하고 싶은 것이 가장 큰 이유야. 그래서 유럽권 국가로 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
  2. 커뮤니티는 분명히 돈으로 돈을 벌 수 있는 구조가 아니고, 그렇게 되어서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 반면 커뮤니티에 자신의 이름을 걸고 자신의 이력에 한 줄 추가하려고 오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그 커뮤니티는 결국 망하게 되는 것 같다.
  3. 나도 젊은 교수님들을 찾아다니면서 다 물어봤다. 왜 교수가 되셨나요? 교수되기 위해서 무슨 노력을 하셨나요? 대학원을 가려면 지금 당장 무엇을 해야 하나요? … 그런데 정말 신기하게도 답이 모두 달랐다. … 그래서 나는 믿음이 아닌가 싶다. 이런 선택을 하면 좋아질 것이라는 믿음

from

  1. None

supplementary

    1. 3__1.2____1.2.2. title: 지역소멸을 해결하는 삶에 대한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