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의 쿠키는 유닉스의 쿠키의 동작 방식과 비슷해서 쿠키라고 이름붙었다. 서버가 Stateless이고 싶어서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대신 저장해달라고 부탁하는 것이다(ref2). 그러면 웹 브라우저는 저장을 부탁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자바스크립트는 쿠키를 읽어서 보내는 것이 아니라, 브라우저가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쿠키를 요청에 실어 보낸다. 이러한 동작이 스토리지와 가장 큰 차이라고 볼 수 있다(ref1).


parse me : 언젠가 이 글에 쓰이면 좋을 것 같은 재료을 보관해 두는 영역입니다.

  1. None

from : 과거의 어떤 원자적 생각이 이 생각을 만들었는지 연결하고 설명합니다.

  1. [bb7.1.1.1.3_1. title: 쿠키(Cookie)는 브라우저 객체 모델(Document object model (DOM))의 하위 요소이다.](https://janghoo.notion.site/bb7-1-1-1-3_1-title-Cookie-465ee030013446f084807eee27ebc1e2)

supplementary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을 뒷받침하는지 연결합니다.

  1. None

opposite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과 대조되는지 연결합니다.

  1. None

to :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이 어떤 생각으로 발전되거나 이어지는지를 작성하는 영역입니다.

  1. None

ref : 생각에 참고한 자료입니다.

  1. 로컬 스토리지와 세션 스토리지 두 저장소의 데이터는 서버로 자동 전송되지 않음. 두 스토리지는 모두 window 객체 안에 들어 있음. Storage객체를 상속받기 때문에 메소드가 공통적으로 존재.
  2. "쿠키"라는 용어는 웹 브라우저 프로그래머 루 몬툴리가 만들어냈다. 이는 유닉스 프로그래머들이 사용한, 프로그램이 수신 후 변경하지 않은 채로 반환하는 데이터의 패킷을 의미하는 매직 쿠키라는 용어에서 비롯된 것이다. … 전자 상거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었다. … 서버가 부분적인 트랜잭션 상태를 보유하는 것을 원치 않았 … 각 사용자의 컴퓨터의 상태를 저장하는 방법을 강구할 것을 대신 요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