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개의 뇌 이론은 각기 다른 데이터로 학습한 15만가지의 모델 중, 판단에 기여할 수 있는 독립적인 수천가지의 인공지능 모델(참고2,3)을 앙상블(from1)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정확히 말하면, 다양한 관점으로 만들어진 수많은 피처들을 15만개나 되는 신피질 기둥(참고4)에 저장해 두고 이를 기반으로 공간을 이해한다는 것이다(참고2).
제각각 독립적인 모형들의 앙상블이라는 것이 어떨 때 가치가 있을지 설명하기 아주 좋은 구절이 있어서 인용을 해 보려고 한다.
12:20, 초코파이를 뭉쳤다고 생각해 보자. 눈은 이걸 똥이라고 생각한다. 손도 이걸 똥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코가 이것을 초코파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느낌이지 않을까. (참고1)
처음에 나는 앙상블 모델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생각했다. 휴리스틱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하지만 독립적으로 훈련된 모델을 함께 쓴다는 컨셉에서 공유하는 부분이 분명히 있기 때문에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것같다.
parse me : 언젠가 이 글에 쓰이면 좋을 것 같은 재료들.
from : 과거의 어떤 생각이 이 생각을 만들었는가?
supplementary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을 뒷받침하는가?
None
opposite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과 대조되는가?
None
to :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이 어떤 생각으로 발전되고 이어지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