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nUrl: /idea/long/9-2
adsense: true
theme: light
pagePassword: false
cherry: false
utterances:
repo: ProtossDragoon/ProtossDragoon
추상화는 복잡한 개념을 숨겨 간단하게 만드는 특징이 있고, 이러한 특징은 인간이 더욱 고등한 생각을 가능하도록 돕는다. 모든 생명체에는 수명이라는 것이 있듯 인간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자신 인생의 모든 경험을 그대로 후대에 전달할 수 없다.
만약 선대의 인간이 겪었던 경험을 그대로 100% 손실 없이 전달해야만 지식이 전수될 수 있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100년 동안 겪은 경험을 전수받기 위해 100년 동안 설명해야 한다고 생각해 보라. 후대의 지식은 기껏해야 선대의 지식과 1:1 대응이 될 뿐이고, 인간은 여느 동물들과 다를 바 없는 삶을 살았을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어떻게 수천년에 걸친 시행착오를 받아들이고 더 나은 세상을 구축하는 데 때로는 책 몇 권이면 충분하기도 할까? 내 결론은 추상이다. 인간은 일반화된 경험과 추상화한 지식을 전달하면서 100년간의 학습내용을 100년동안 전달하지 않아도 되게 만들어 문명을 발전시켰다.
하지만 이러한 추상화에는 양면성이 존재한다. 인간이 경험을 문자나 언어라는 매체를 통해 100%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화'하거나 '중요한 부분을 추상화'시켜 지식을 전달한다는 성질은 귀납과 매우 비슷한 특징을 가진다. 귀납이 지식을 개척하는 동시에 사실을 숨기는 성질이 있는 만큼, 추상화된 정보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하거나 추상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사고를 발전시키는 일에는 큰 위험이 따르기도 한다(ref1).
우리가 얼마나 많은 것을 추상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느끼기 위해 '도덕'이라는 개념을 예로 들어보자. 우리 모두가 도덕이라는 ‘의미론적 표현’을 공유하고, 도덕에 대해 마치 아는 것처럼 말하고 행동한다. 하지만 사람들마다 가지는 도덕의 구체적인 기준은 다르다. 뿐만 아니라 시간에 따라 변화하기까지 한다. 십자군 전쟁은 당시 도덕적이었을 것이고, 마녀 사냥도 당시에는 도덕적인 행위였을 것이다. 후배에게 조언을 건네는 행위도 꼰대라고 폄하되지만, 기성세대에서는 사회 유지를 위해 꼭 필요한 도덕적 행위였을지 모른다. 이처럼 추상적으로 공유되는 개념들의 구체적인 내용은 시대, 문화, 개인에 따라 달라 오해와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미술관에 걸린 추상화를 떠올려보자. 피에트 몬드리안의 작품을 보며 많은 사람들은 "이게 왜 대단한 거지? 그냥 색칠한 네모 칸 아닌가?"라고 생각한다. 눈앞의 풍경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사실적인 그림은 즉각적으로 이해하고 감탄할 수 있지만, 선과 색으로만 이루어진 추상화 앞에서는 무엇을 느껴야 할지 막막해진다. 도대체 '무엇을' 그렸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몬드리안의 나무 추상화
더 본질만, 더 특징만 남기려고 하는 과정이다(ref5).
'객체(object)가 아닌 분위기(mood)를' 표현하는 과정이다(ref6).
미술관에 걸린 피에트 몬드리안의 작품을 떠올려 보자. 워낙 유명한 작품이지만, 사실 "이게 왜 대단한 거지? 그냥 색칠한 네모 칸 아닌가?"라고 생각하는 것이 훨씬 일반적인 반응이다. 눈앞의 풍경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사실적인 그림은 즉각적으로 이해하고 감탄할 수 있지만, 선과 색으로만 이루어진 추상화 앞에서는 무엇을 느껴야 할지 막막해진다. 도대체 '무엇을' 그렸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수학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친구에게 '함수'라는 개념을 설명해야 할 때, 다짜고짜 "함수란 집합 X의 각 원소에 대해 집합 Y의 원소가 오직 하나씩 대응하는 관계야"라고 말하면 상대방은 고개를 갸웃거릴 것이다. 하지만 "음료수 자판기를 생각해봐. 1000원짜리 버튼(입력)을 누르면 콜라(출력)가 하나 나오지? 이렇게 입력 하나에 출력 하나가 정해지는 규칙, 그게 바로 함수야"라고 구체적인 예시를 들면 금세 이해한다. 이처럼 우리는 추상적인 정의나 일반식보다 구체적인 사례를 접했을 때 훨씬 직관적이고 편안하게 느낀다.
하지만 추상화의 본질은 '어려움'이나 '모호함'이 아니라 '핵심 추출'에 있다. 복잡한 대상에서 불필요한 세부사항을 걷어내고 가장 본질적인 특징과 구조만을 남기는 과정, 마치 원액을 짜내듯 '증류(distill)'하는 과정인 셈이다. 몬드리안은 나무의 구체적인 잎사귀나 가지의 형태가 아닌, 수직과 수평의 구조적 긴장감과 색의 조화라는 '본질'을 추출해냈다. 수학의 함수 정의 역시 세상의 수많은 '입력-출력' 관계를 관통하는 단 하나의 '핵심 규칙'을 담아낸 것이다. 꼭 학문에 국한되는 이야기는 아니다. 테슬라의 수석 엔지니어 안드레 카파시(Andrej Karpathy)는 기업의 의사결정에서 적절한 추상을 찾아내는 일론 머스크가 ‘증류(distill)에 탁월하다’고 표현했고(ref7), 또다른 기업가 이건희는 추상화란 ‘본질에 대해 고민하는 과정’이라고 표현했다(ref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