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ort pickle, r 대신 rb 사용)"> import pickle, r 대신 rb 사용)"> import pickle, r 대신 rb 사용)">
# 이론문제 1-1
for num in range (1, 6):
print("분반 : "+str(num).zfill(2)) 
를 실행시키면

분반: 001
분반: 002
분반: 003
분반: 004
분반: 005

위와 같이 출력된다. (X)

# 이론문제 1-2
print("s", "a", "i", sep=" ", end="!")
print("정말 재밌다")

를 실행시키면

sai!정말 재밌다가 출력된다. (X)

# 이론문제 1-3
print("{0:.4f}".format(10/3))

를 실행하면 소수점 네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 출력된다. (X)

# 이론문제 1-4
average_file = open("average.txt", "a", encoding="utf8")
average_file.write("일반물리학 : 70")
average_file.write("중급회계1 : 60")

를 실행하면, average_file에

일반물리학 : 70
중급회계1 : 60

위의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입력된다. (X)

# 이론문제 1-5
image 라는 데이터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import image

with open("image.pickle", "r") as image_file:
print(pickle.load(image_file))

를 실행하면 close 없이도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X => import pickle, r 대신 rb 사용)
# 이론 문제 2-1 
print("{0:<5,} + {1:>3}".format(1000,500),end=' = ')
print(1000+500)
를 실행하면 

1000 + 500 = 
1500

이 출력된다. (X => 1,000 + 500 = 1500)

# 이론문제 2-2
print("{:(.n)f}" .format(5/3))과 같이 출력했을 때
(.n)의 n이 무한히 늘어나도 항상 1.6666666666666666667이다. (X)

# 이론문제 2-3
pickle : 바이너리 파일으로서의 저장은 저장공간, 속도 ,호환성 측면에서 효율적이기에 사용한다. (O)

# 이론문제 2-4
score_file= open("score.txt", "w", encoding = "utf8") 
print("수학 : 0", file=score_file)
print("영어 : 50",file=score_file)
score_file.close()

score_file= open("score.txt", "a", encoding = "utf8")
print("수학 : 40", file=score_file)
print("영어 : 70",file=score_file)
score_file.close()

score.txt파일 내용은

수학 : 40
영어 : 70
이다.
(X)

# 이론문제 2-5

answer = input("아무 값이나 입력하세요 : ") 
1. print("입력하신 값은"+answer+"입니다.")
2. print("입력하신 값은"+str(answer)+"입니다.") 

문장 1과 2의 data type은 str로 동일하다.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