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호를 중심으로 나눠서 입력받기 (split() 이렇게 공백으로 두면 공백을 기준으로 받음) print(?,?,sep=':') -> : 기호를 중심으로 나눠서 출력 y,m,d=input().split('.') print(d,m,y,sep='-') 응용버전 """"> : 기호를 중심으로 나눠서 입력받기 (split() 이렇게 공백으로 두면 공백을 기준으로 받음) print(?,?,sep=':') -> : 기호를 중심으로 나눠서 출력 y,m,d=input().split('.') print(d,m,y,sep='-') 응용버전 """"> : 기호를 중심으로 나눠서 입력받기 (split() 이렇게 공백으로 두면 공백을 기준으로 받음) print(?,?,sep=':') -> : 기호를 중심으로 나눠서 출력 y,m,d=input().split('.') print(d,m,y,sep='-') 응용버전 """">
a,b=input().split(':')
print(a,b,sep=':')
"""
split(':') -> : 기호를 중심으로 나눠서 입력받기
	(split() 이렇게 공백으로 두면 공백을 기준으로 받음)
print(?,?,sep=':') -> : 기호를 중심으로 나눠서 출력
	y,m,d=input().split('.')
	print(d,m,y,sep='-') 응용버전
"""
s=input()
print(s[0:2],s[2:4],s[4:6])
"""
s[a:b] 라고 하면, s라는 단어에서 
a번째 문자부터 b-1번째 문자까지 잘라낸 부분을 의미한다.
다른 자르기 방법도 있다.
"""
n = ord(input()
c = int(input())
print(chr(c))
'''
ord
입력받은 문자를 10진수
유니코드 값으로 변환한 후, n에 저장한다.
입력 : a 출력 : 65
chr
c에 저장되어 있는 정수 값을 
유니코드 문자(chracter)로 바꿔 출력한다.
'''
print('%X' % n) 
#16진수 대문자 형태 문자열로 출력
print('%o' % n)
#8진수 형태 문자열로 출력
print(-n)
#n의 부호를 바꿔서 출력
(a//b) #a를 b로 나눈 몫
(a**b) # a의 b제곱
(a%b)  #a를 b로 나눈 나머지
a,b=input().split()
a=float(a)
b=float(b)
c = a/b
c=round(c,3)
print(c)
'''
round(c,3) c를 소숫점 넷째자리에서 반올림
					 즉, 셋째자리까지 표시
'''